북한의 핵무기에 대한 무모한 추구때문에 최근에는 아랍 에미레이트, 이탈리아, 스페인, 멕시코, 페루, 쿠웨이트 등 북한 외교관을 추방한 국가들이 늘고 있습니다.
올해 20여 국가에서 북한의 외교 활동을 제약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전세계의 여러 국가에서 고위 외교관의 추방은 미사일과 핵장치의 불법 시험에 대해 김정은 정권을 성토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는 2006년에 있었던 최초의 핵 시험 이후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9월 3일에 있었던 북한 핵 시험에 대응하여 제재를 가했습니다. 오늘까지 누적된 유엔 제재는, 미국 Rex Tillerson 국무장관이 “북한에서 상황을 시정하는데 필요한 만장일치의 시각”이라고 칭하는 안정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이 제대로 이행되는 경우 $24억의 북한 무역 수익을 거부하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월 21일 북한을 표적으로 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제재를 발표했는데, 그 내용은 이 동북 아시아 국가와 교역하는 개인 및 단체에 대한 처벌을 부과하는 것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이후, 미국에서는 72가 넘는 개인 및 단체를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우리는 김정은에 대해 조직된 과거의 어느 경제적 제재보다 강력한 제재를 설치했습니다.“
— Rex Tillerson 국무장관
이집트, 필리핀, 우간다는 2017년 북미와의 관계를 단절하는 단계도 취했습니다. 이집트와 우간다는 군사 협력 관계를 중단했으며, 필리핀은 북한에 대한 제재의 준수를 위해 무역 관계를 중단했습니다.
유엔 제재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인지한 다른 국가들에서는 추가의 대책을 채택했습니다. 여기에는 호주, 한국, 일본 및 라트비아가 포함됩니다. 유럽 연합에서도 추가의 대책을 채택했습니다. 파키스탄은 자국의 기업들이 미국의 제재 대상 단체들과의 관여를 금지하는 공식 정부 고지를 발급했습니다.
이 기사는 10월 2일에 처음 발행되었습니다.
최근에 외교관을 추방한 국가들
아랍 에미레이트
이탈리아
스페인
멕시코
페루
쿠웨이트
추가의 대책을 채택한 국가들
호주
한국
일본
라트비아